롯데케미칼의 말레이시아 자회사 롯데케미칼 타이탄이 최근 인도네시아 대정전으로 발생한 공장 셧다운이 실적에 큰 타격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요하네스 밤방 부디하르디자 롯데케미칼 타이탄 이사는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를 통해 "자회사 롯데케미칼 타이탄 누산타라(LCTN)의 공장 셧다운이 회사 재무 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인도네시아 공장 3개(PE1, PE2, PE3)는 지난 4일 가동이 중단됐었다. 송전 시스템 문제로 공장이 위치한 자바섬 일대에 대정전이 발생해서다.
그날 오후 7시부터 복구가 이뤄져 전기가 공급됐다. 공장은 약 7일만인 지난 11일부터 재가동됐다. 이른 시일에 정상 가동을 회복한 만큼 큰 손실이 없다는 판단이다.
롯데케미칼 타이탄은 지난 2분기 매출 21억2700만 링깃(약 6100억원)을 기록했다. 1년 사이 7% 줄었고 1분기보다 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억500만 링깃(약 301억원)으로 1분기(5600만 링깃·약 160억원) 대비 88% 증가했다. 작년 2분기(3억1600만 링깃·약 906억원)보다 67% 하락했다.
인니 공장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등의 제품을 생산한다. 업계는 PE1과 PE2는 HDPE 생산량이 각각 12만5000t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PE3는 LLDPE 생산능력이 약 20만t이다.
Copyright © 2019 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 '스프린터'가 작은 방으로 변신했다. 미국의 밴개조 전문 업체는 프리덤 밴즈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인 스프린터를 개조한 캠핑카를 제작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북미 전역을 여행하며 밴라이프를 즐기는 한 여성을 위해서 설계·제작된 차량을 공개하기도 했다. 차량의 이름은 '피츠 로이'로 의뢰자인 여성이 좋아하는 파타고니아 산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해당 차량은 안과 밖에 다양한 개조를 통해 1인이 충분히 생활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침대는 물론 샤워실, 싱크대, 물탱크, 자전거 트레이, 선반은 물론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335와트급 LG 태양 전지판 2개가 장착돼있다. 이 외에도 프리덤 밴즈는 벤츠 스프린터 개조를 통해 '플레야 데 솔', '실버 불렛', 다스 밴더' 등 다양한 차량을 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피츠 로이'는 스프린트 차량 가격을 제외하고도 9만5천달러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덴마크에 조립식 완구 제조기업 레고가 테슬라의 픽업트럭을 저격(?)했다. 27일(현지시간) 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공개된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을 풍자한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직사각형의 레고 블럭에 네개의 바퀴가 달려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에는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헤드램프와 같이 빛이 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레고 오스트레일리아 측은 해당 게시물을 통해 "트럭의 진화가 여기 있다"며 "부서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고 밝혀 네티즌들로부터 재미있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이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호손의 테슬라 디자인센터에서 열린 '사이버 트럭' 공개 행사 당시 헤프닝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공개 행사에서 머스크는 정말 튼튼한 차량을 만들었다며 망치로 차체를 쳐보게 하는 등의 이벤트를 진행했다. 그러던 중 유리의 튼튼함을 보여주기 위해 쇠공을 던졌는데 유리가 깨져버리는 상황이 발생했던 것이다. 머스크는 3일 후 "대형 망치로 차문을 때리면서 유리에 금이 간거 같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레고의 패러디를 본 사람들은 "레고가 튼튼한 건 잘 알고 있다", "실수로 밟아도 레고는 망가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