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그룹의 임원인사를 앞두고 '물갈이 인사'가 예고됐다. 대상그룹의 연구개발(R&D)총괄인 최정호 식품BU 연구기술본부장(전무)가 회사를 떠났다.
최 본부장 전격 퇴진으로 ‘세대교체’와 ‘신상필벌’을 골자로 한 임원인사가 예상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대상그룹의 정기 임원인사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최 본부장은 지난 1일 사임했다. 특히 등기임원을 겸직하고 있는 최 본부장의 등기이사 임기는 내년 3월로 임기 5개월을 앞두고 조기 퇴진한 셈이다.
2008년부터 3년간 대상 식품연구소장을 맡았던 최 본부장은 대상FNF 한국식신선연구소장, 대상FNF 대표를 거쳐 지난 2016년 전무로 승진하면서 대상의 R&D 지휘를 맡게 됐었다.
특히 최 본부장은 임정배 식품BU 대표이사(사장)보다 한 살이 많고, 정홍언 소재BU 대표이사(사장)보다는 두 살은 적은 60년 생으로 대상 내에서 최고 고참급 임원였다.
업계에서는 최 본부장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한 채 퇴진한 것을 놓고 이번 정기 임원인사는 '세대교체'에 방점을 둔 인사가 단행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대상이 최근 몇 년 동안 눈에 띄는 히트작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이번 최 본부장의 조기 퇴진은 '신상필벌'을 골자로 한 정기인사의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도 전망했다.
여기에 임세령·상민 자매의 승진 여부도 주목을 끌고 있다. 특히 대상 내 부사장이 없어 이들 자매의 부사장 승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임세령 전무는 대상그룹 임창욱 회장의 2녀중 맏딸로 지난 2016년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 이미 승진연한(3년)을 채웠다. 또한 같은 해 언니와 함께 승진한 임상민 전무도 같은 상황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임상민 전무의 승진을 점치고 있다. 임상민 전무가 지주회사인 대상홀딩스의 지분 36.71%를 소유한 최대주주이며, 임세령 전무의 지분은 20.41%로 2대 주주라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또한 임세령 전무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21살에 결혼, 육아에만 전념하다 이혼 후 2009년부터 경영에 참여했으나 임상민 전무는 학업을 마친 후 곧바로 후계 수업을 받아온 것도 이같은 분석에 힘을 싣고 있다.
이와 함께 임세령 전무는 배우 이정재와 연인관계로 수시로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를 장악하는 등 이슈몰이를 하고 있다는 점은 대상 경영진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Copyright © 2019 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중국의 애니메이션 열풍이 거세다. 최근 개봉한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는 개봉 후 90분도 안 돼 흥행 수익이 170억원을 넘었다. 내년 애니메이션 생산 규모는 33조원 이상으로 커질 전망이다. 중국 시장의 급성장으로 글로벌 업체들이 진출을 모색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공략하라"고 조언한다. 온라인을 통한 해외 작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중국 정부의 규제를 피할 수 있어서다. 30일 중국 시장조사기관 아이리서치(i-research)에 따르면 현지 애니메이션 생산 규모는 2013년 882억 위안(약 14조8100억원)에서 2018년 1747억 위안(약 29조3400억원)으로 급상승했다. 내년에는 2000억 위안(약 33조59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력 소비군은 30대 이하의 젊은층이다. 이들의 점유율은 약 70%에 달한다. 특히 1995년(24세) 이후 출생자들은 점유율이 44%로 월평균 소비지출이 약 1600위안(약 27만원)에 달한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세는 지난 7월 26일 개봉한 나타지마동강세의 흥행을 봐도 알 수 있다. 나타는 중국 고대 신화 속 캐릭터다. 영화는 인간을 괴롭히던 어린 나타가 반성과 수행을 거쳐
미국의 보안업체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29개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제품들에 보안 취약점이 있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보안업체 크립토와이어는 미국 국토안보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크립토와이어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9개 업체가 생각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총 146개의 취약점들이 확인됐다. 가장 큰 문제는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부터 설치돼있는 사전설치 앱들이 사용자의 허가를 얻지도 않고 녹음은 물론 스마트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이 손쓸 수없는 사이 무단 음성녹음은 물론 잘못된 명령 실행, 시스템과 무선 통신 설정 변경 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고유의 문제로 구글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사에서 스마트폰 브랜드 중 가장 많은 취약점을 지적받은 업체는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는 146개 중 33개를 차지하며 상당히 많은 수의 스마트폰이 취약점이 있다며 지적받았다. 삼성전자가 지적받은 스마트폰들은 A3, A5, A7 등 A시리즈 스마트폰과 지금은 단종된 J시리즈, S7으로